창조, 모든 것의 출발
모든 성경의 말씀은 인간이 고안해낸 것이 아니다(딤후 3:6). 성경은 하나님의 사람들이 하나님의 감동으로 받은 계시의 책이다. 이들 성경의 저자들은 하나님을 살아계신 창조주 하나님으로 소개한다(계 10:6). 창세기 전반부(1-3장)는 창조주 하나님이 스스로 밝히는 창조에 대한 자기 선포이다. 창조의 하나님은 성경의 첫 말을 ‘태초‘(bereshith)라는 말로 시작한다. 세상은 시간 안에서 창조된 것이 아니라 시간과 함께 창조되었다. 즉 창조 이전에는 시간이 없었다. 하나님이 바로 시간의 주관자요 창조자였다. 창조주 하나님만이 시간의 주관자이므로 하나님 이외 피조세계의 미래를 정확히 내다볼 수 있는 피조물은 아무도 없다. 따라서 함부로 단정적 어조로 미래와 종말을 예언하는 사람들을 조심해야 한다(사 47:12-14).
▲조덕영 박사
|
물질과 시간은 창조된 것이므로 세상은 우리 사람의 육체처럼 유한하며 끝을 가진다(계 20:11). 이방의 종교 사상들이 우주와 세계는 처음도 없고 끝도 없다는 순환적 시간관(circular view of time)을 가진데 비해, 기독교가 직선적 시간관(linear view of time)을 가지는 이유이다. 이 특징을 가장 먼저 찾아낸 사람은 신학자 어거스틴(St. Aurelius Augustinus, 354-430)이었다. 어거스틴은 『신국론』(De civitate Dei)에서 이 두 가지 시간관을 구분한다. 시간을 보는 관점이 시간의 창조주 하나님과 피조물인 인간은 전혀 다름을 알아야 한다(벧후 3:8). 공간과 물질은 이렇게 시간 속에서 비로소 삼위일체적 완성된 세상을 구성하였다. 그리고 세상은 시작되었다.
설교자에게 과학이란 무엇인가?
라틴어 「Scientia」는 사람의 지식을 말한다. 이 라틴어에서 영어의 「Science」라는 단어가 유래하였다. 19세기 말 이 말을 일본 사람들이 ‘과학‘(科學)이라고 번역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를 통해 과학도 인간이 가진 하나의 지식체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그 지식 체계가 어떤 설득력을 가지고 있는가 하는 것과 그것이 종교의 지식체계와 어떤 관계를 지니고 있는가를 해석할 필요성이 대두된다.
성경이든 과학적 데이터든 모두 해석을 통해 산 의미를 갖는다는 면에서 오늘의 상황(context) 아래서 이 둘이 어떻게 융합될 수 있는 지를 다루는 것은 분명 의미 있는 일이 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기독교와 과학은 불필요한 오해와 갈등의 담을 쌓아온 면이 없지 않다. 물론 창조에 대한 설교는 성경과 과학을 단순히 융합하는 작업은 아니다. 신학의 언어로 표현하자면 설교자는 창조에 대한 설교를 위해 성경 본문의 지평이 과학적 데이터를 참조하여 해석자 지평을 “변혁“(transformation) 시켜야하는 고도의 작업임을 명심해야 한다.
창조 질서를 다루는 하등학문으로서의 과학
성경은 과학 책이 아니다. 과학의 언어로 기술되지 않은 책이다. 자연과학적 영역과는 관심 분야가 다른 책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성경에 대해 우리가 갖는 신앙적 믿음으로 인해 비록 성경이 과학책이 아니기는 하나 성경의 말씀대로 자연을 만드신 하나님이 곧 성경의 하나님이시라면 진정한 과학은 성경적이다. 하나님이 주신 이 두 권의 책(말씀의 책인 성경과 하나님의 활동의 책인 자연)이 늘 불필요한 긴장을 유지하여 왔다는 것은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
성경의 창조주 하나님께서 말씀으로 우주를 창조하시고 자연과학의 질서를 만드시고 그 사실을 성서를 통해 계시하고자 했다면 과학의 영역에 있어서도 당연히 성서는 권위를 가지게 된다. 하나님은 오류까지도 사용할 수 있는 분이시기는 하나 창조주 하나님 스스로는 오류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비록 성경이 과학의 언어로 서술 되지는 않았으나 과학의 이름으로 탐색하는 일이 그리 어색하지는 않다고 볼 수 있다. 즉 과학은 창조의 질서를 탐구하는 하등학문인 것이다.
성경, 과학적으로 해석될 수 있을까?
일정한 영역의 경우 분명 과학적 검토는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이 문제는 성서해석에 있어 과학적 해석이 필요한가와 더불어 살펴볼 필요가 있다. 성경이 과학적으로 해석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증거하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다. 먼저 성경은 창조의 사실을 선포하고 있는 유일한 책이다. 성경은 우주가 시작될 때 시간(태초)이 창조되었음을 선포하고, 우주의 연대 문제는 과학적으로도 관심 사항이므로 과학적 논증의 해석을 필요로 하게 된다. 과학이 아무리 성경과 다른 언어의 영역이라 할지라도 우리는 하나님의 다른 책인 자연에 대한 해석을 필요로 하게 된 것이다.
하지만 앞에서 밝힌 것처럼 성경은 과학책이 아니다. 과학의 언어로 성경을 탐색하는 자들은 그야말로 어리석은 자들이다. 성경은 그런 책이 아니기 때문이다. 칼빈(1509-1564)도 창세기를 주석하면서 이 부분을 분명히 한다. 칼빈은 당시 천문학 체계를 부정하지 않았으나 ‘모세는 천문학적 내용을 기술하는 데 있어 통속적으로 글을 썼고 상식을 지닌 모든 사람들이 알 수 있는 언어로 기록한 반면, 천문학자들은 전문가들로, 인간의 두뇌가 표현할 수 있는 가장 고도의 언어로 기술하였다‘고 보았다.
이 같은 칼빈의 해석 방법은 성경의 종교 메시지가 누구에게든지 이해할 수 있게 묘사되었다는 종교 개혁 이론에 기초한다. 성령은 모든 사람을 위한 공통된 학교를 개설한 것이다. 즉 하나님은 모든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주제를 다룬다. 모세는 교육받은 자의 교사만은 아니었다. 교육받지 못한 사람들의 교사였다. 따라서 “모세는 성경을 기록함에 있어 평범한 언어를 채택했다. 그렇다면 성경은 보통사람들을 위한 책이므로 천문학 및 다른 어려운 학문을 배우려는 사람들은 다른 곳으로 가야 할 것이다.”
시편 주석에서도 칼빈은 성경의 저자들이 과학적 사건에 대해 감각이 느끼는 대로 묘사했지 과학적 용어로 묘사하려 하지 않았음을 역설한다. “성령께서는 천문학을 가르치려는 의도가 전혀 없었다. 다시 말해 가장 단순하고 전문적인 교육을 받지 않은 일반인들에게 교훈을 내리기 위해 성령은 일상적인 언어를 사용하는 모세와 선지자들을 사용하심으로써 아무도 그 말씀이 모호하다는 핑계를 대지 못하게 하셨다.”
예를 들어 사반과 토끼는 일반적으로 되새김 동물이 아니다. 그런데 성경은 분명 사반을 되새김질 동물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러므로 성경을 무조건 과학적 논리로 풀려고 하면 오히려 성경을 미련한 책으로 만드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는 것이 성경 해석에 있어 과학적 논리를 반대하는 사람들의 주장이다. 그러나 여기서 우리는 금새 모순을 발견하게 된다. 해석자는 자기 스스로 사반은 되새김 동물이 아니라는 과학적 해석을 전제하고 과학의 언어로 성경을 보지 말라는 판단을 내리고 있는 아이러니를 보게 된다. 이 해석자는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성경이 말하는 되새김의 범위를 훗날 생물학자들이 만든 분류학(taxonomy)의 틀에 갖다 넣는 오류를 범하고 있는 것이다. 성경이 박쥐를 새라고 표현한다고 박쥐는 분명 새라고 억지를 부리는 것도 동일한 오류라 볼 수 있다.
멸종된 생명이나 검증 불가능한 동물에 대해서도 창조론과 무신론은 전혀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한다. 성경에 나타난 리워야단이나 탄닌, 라합, 비히못 등을 공룡이나 어룡 등 과거에 멸종해버린 자연적 동물로 보느냐(the naturalistic perspective) 아니면 신화적인 동물로 보느냐(he mythological perspective) 상징적인 존재로 보느냐(the emblematic perspective)에 따라 해석 전반에 대한 다양한 단면들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역사적 동물이냐 상상 동물이냐 아니면 역사적 동물이기는 하나 멸종된 이후 그 이미지가 변색되어 온 것인가 그런 부분들이 해석될 필요가 있다. 물론 어떤 관점이 보다 더 진리에 가까운가 하는 사실이 중요할 수 있다. 즉 과학적 해석 자체가 성경의 권위 내지는 무오성을 밝히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그러나 해석의 옳고 그름을 떠나 이 같은 해석의 다양성을 통해 먼저 계시로서의 성경과 세속적 신화 사이에 어떤 충돌과 연속성이 있었는지를 배우고 접근할 수 있게 된다. 과학과 관련된 이러한 성서 해석은 우주와 생명의 기원 논쟁, UFO와 외계생명체 논쟁, 생명공학 논쟁, 의약 분쟁, 생명의료윤리 등등 여러 이슈들에서 그리스도인들은 세상과는 조금 다른 방식으로 이들 주제들을 판단해야 하는 당위성을 깨닫게 된다. 즉 여러 부분에서 과학을 도구로 한 성경적, 신학적 해석의 중요성이 금 새 드러나게 된다. 과학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영역은 이밖에도 다양하다. 그 중 하나는 생태적 환경과 관련한 과거의 역사를 탐색하는 부분과 특별히 초과학의 영역이랄 수 있는 태초의 창조를 수용하는 데 있어 과학의 역할은 중요하다.
진화론에서는 제임스 허튼 이래로 동일과정적인 지질학적 역사관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비해 성경은 대격변론적인 홍수의 역사성에 대해 서술하고 있다. 이 둘을 어떻게 조화하고 구분해야 하는 가하는 점 등이 바로 성서의 일반 계시 영역에 대한 과학적 해석의 당위성을 제공한다고 볼 수 있다. 첨단 과학 기술 시대를 살고 있는 우리는 과학의 영역에 있어서 과거 해석자들보다 훨씬 풍부한 이해의 범위와 경험을 가지고 텍스트를 대할 수 있게 되었다. 현대 신학자 슐라이어마허가 말한 텍스트와 해석자 사이의 최소의 공통 분모라 할 수 있는 선이해(preunderstanding)가 넓어졌다고 볼 수 있겠다. 즉 계시의 점진성 아래에서 과학적 자료들은 성경 해석에 일부분 공헌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설교자들은 세속의 과학적 성과에 대해서도 부단히 관심을 기울이며 바른 성경적 설교에 적용하는 일을 게을리 해서는 안 된다.
과학적 방법과 성서
과학의 일반적인 방법은 먼저 관찰의 대상에 대해 문제를 제기하고 관측하여 자료를 분석하고 필요하면 실험한다. 시간과 상황과 조건을 달리하여 어떤 조건 아래에서도 실험의 결과가 동일하게 나타나면 비로소 결론을 도출하게 된다. 여기서 일반적 과학적 방법이란 성서적 해석에 많은 제한을 담고 있음을 알게 된다. 창조의 사실에 대해 관측하고 실험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하지만 과학적 방법의 한계가 과학적 설명 즉 성경에 대한 과학적 해석의 필요성까지 부정하는 것은 아니다. 엠마오로 가던 두 제자에게 행하신 예수님의 성경 해석처럼 과학적 방법 자체가 가진 논리로 해석이 가능해진다. 비록 창조를 관찰한 사람이나 창세기 대홍수 사건을 재현(再現) 하거나 직접 목격하는 것은 불가능하나 과학적 해석은 가능한 것이다.
과학적 해석의 유용성과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과학은 과학적 방법의 틀 안에서 성서 해석의 한계를 가진다. 과학 자체의 한계가 있다. 기원에 대한 과학적 입증 자체는 가능한 일이 아니다. 그것은 여전히 성서가 말하듯 믿음의 영역으로 남는다. 창조와 진화도 과학적으로 입증될 수 있는 결정적 영역은 아니기 때문이다. 성경해석에 있어 과학은 분명 이렇게 제한적이다. 기독교는 과학의 영역이 “영원히 자연에 순종하는 과학“이 아니라 때로는 창조주인 신이 직접 개입하여 그 질서에 영향을 행사할 수 있다고 보기에 더욱 그러하다.
과학과 성경 기적(奇蹟)의 문제
기적은 불가사의한 일을 뜻하는 라틴어 미라쿨룸(miraculum)에서 왔다. 자연이나 사건의 흐름에 대해 초자연적 간섭이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기적은 과학의 영역을 벗어나면 다양하다. 오늘날까지 성결파 및 오순절 복음주의자들은 신유와 방언의 기적이 유효함을 주장한다.
하지만 18세기 철학자 흄(David Hume, 1711-1776)은 기적은 자연법의 위배로 보았다. 흄은 종교에 관한 자신의 두 저서 ⌜종교의 자연사⌟(The Natural History of Religion)와 ⌜자연 종교에 관한 대화⌟(Dialogues Concerning Natural Religion) 에서 우주 질서의 원인이 되는 지적 창조자로서의 신의 존재를 인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에게 있어 신은 우주 질서의 원인으로서 가정된 이신론적 존재(a deitistic being)이며 따라서 자연의 질서를 깨뜨리는 자연 법칙을 위반하는 기적은 인정할 수 없다. 그러므로 흄에게 있어 기적은 과학적으로 불가능한 일이었다. 흄이 볼 때, 혹 신의 특별한 의지에 의해 일반 법칙이 깨어지더라도 그것은 전적으로 인간이 전혀 알아챌 수 없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그럼에도 기적은 분명 성경에 기록되어 있다. 20세기 초 과학자들 뿐 아니라 신학자들 사이에서도 기적을 거부한 사례가 늘어나자 복음주의 신학자 워필드는 우리 마음에 품은 세계관이 아니라 우주 속에서 발생하는 모든 사실들에 대한 정당한 고찰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지 않겠는가라고 기적을 이해하였다. 그러면서 워필드는 기적은 사도들이 교회의 토대를 놓음과 함께 그쳤다고 강력히 주장하였다.
내재(內在)적 도구에 불과한 자연과학으로 초월의 창조주를 설명할 수 있다는 과욕을 버려야
이 문제는 성경을 과학의 틀 속으로 가져갈 때 문제가 발생한다. 즉 피조세계를 통치하시는 하나님의 초월성을 인정하지 않는 인과율(因果律)에 사로잡힌 희랍인들의 구조 안에서 기적은 존재할 수 없다. 기적이 그들의 틀 속에 잡힐 수 없는 것이다. 히브리인들에 있어 관심은 하나님의 일이었다. 하나님이 단지 무엇을 하시며 그 일을 하시는 이유가 무엇인지가 그들의 의문의 영역이었다.
하나님이 하신 일의 과학적 검증은 희랍인의 몫이지 결코 유대인들의 몫은 아닌 것이다. 즉 기적은 과학적 설명은 가능하나 과학의 잣대 안에 통제 받아야 되는 대상이 아니다. 설교자들도 디지털 시대에 세뇌되어 과학을 마치 절대선, 절대군주처럼 여기며 설교하는 누(累)를 범하지 않도록 늘 조심할 필요가 있다. 내재(內在)적 도구에 불과한 자연과학으로 초월의 창조주를 설명할 수 있다는 과욕을 버려야 하는 것이다. 성도들은 과학에 묶인 설교보다 과학을 초월한 전능자의 메시지를 듣고 싶어 함을 잊지 말아야 한다.
편집자 주: 필자 조덕영 박사(창조신학연구소)는 김천대와 평택대 신대원 겸임교수로 사역하고 있다.
조덕영 박사 bareunmedia@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