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도 바울의 창조 신학(1)

편집자 주조덕영 박사의 사도 바울의 창조신학 글을 4회에 거쳐 연재합니다조덕영 박사는 조신학연구소 소장창조론 오픈 포럼 공동대표평택대 신학부 겸임교수로 사역하고 있다.

I. 사도 바울

사도 바울은 과연 누구였을까사도 바울만큼 기독교 역사에서 극적이고독특하고중요한 인물이 있을까그는 도대체 어떤 사람이며무엇을 배웠으며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었고외모는 어떠했을까출신과 가문은그리고 회심 이전에는 어떤 생각을 가지고 있다가 부활의 예수를 만난 후 돌연 신앙의 변곡점을 맞았던 것일까스스로 성경을 읽을 수 있는 그리스도인 가운데 한 번쯤 이런 궁금증이 없었던 사람이 있을까?

▲조덕영 박사

바울은 길리기아 다소(9:11;21:39;22:3)에서 로마 시민이었던 부모의 유대인 가정에서 태어났다성경에서 그의 가족에 대해 더 이상 알려진 내용은 거의 없다제롬(Jerome)은 한 구전을 통해 그의 부모가 원래 기스갈라(Gischala)라고 불린 한 성읍 출신으로 주전 1세기 로마가 팔레스타인을 유린할 때 다소로 도피한 사람들이었다고 했다. 2세기 문헌은 바울의 외모에 대해 체구가 작고 양 눈썹이 붙었으며 코가 좀 크고 머리는 벗겨졌으며 다리가 구부정하고 단단한 몸을 가진 은혜가 충만한 사람이었다사람처럼 보이면서도 때때로 바울은 천사의 얼굴(the face of an angel)을 가진 사람으로 보였다.”라고 묘사하고 있다천사의 얼굴이란 표현이 바울의 어떤 외형적 부분을 묘사한 것인지는 잘 모르겠다다만 바울이 선한 표정을 가진 평범한 외모의 인물로 유대인임에도 불구하고 로마 시민권을 가진 것으로 보아 평범한 히브리 가정이라기보다는 약간의 기득권을 누린 유대 출신임을 알 수 있는 대목이다.

그는 초대 교회 집사 중 한 사람이었던 스데반을 돌로 치는 자리에 함께 있던 불신자로서 놀랍게도 부활한 예수를 다메섹 도상에서 만났다그의 회심이 세상 그리스도인 가운데 그 누구와도 달리 정말 극적이고 독특한 이유다이후 그는 예수의 12 제자초대교회 집사 출신도 아닌 사람으로 부활하신 예수로부터 친히 이방인의 사도로 임명되었다그런 그가 없었다면 과연 기독교가 지금의 틀을 가진 종교가 될 수 있었을까?

바울에 관한 자료는 거의 전부가 신약성경 안에 들어있다첫째 바울 서신이요 둘째는 사도 행전이다사도 바울은 성경 계시의 저자 40여 명 가운데 가장 많은 성경을 저술한 저자다성경 66권 중 최소 13권이 바울이 쓴 책이다예수 불신자요 기독교 핍박자에서 극적으로 부활하신 주님을 대면하면서 기독교회의 일원에 동참하게 된 인물로 공교회를 굳건히 견고하게 만든 공로자였다오늘날 기독교가 세계적 종교가 되는 데 있어 그가 최고 공로자 중의 한 사람이라는 것에 이의를 제기할 사람은 아무도 없다.

초대 교부들이 바울 저작들을 연구하고 다룬 것은 당연한 일이었다루터와 칼빈의 종교개혁 사상도 바울 저작인 로마서의 이신칭의(以信稱義)에서 비롯되었다이후에도 무수히 많은 학자들이 바울 저작들을 언급하고 연구하였다헤겔불트만본 하르낙헤르만 리델포스게할더스 보스, F.F. 부르스칼 바르트그레샴 메이천윌리엄 바클레이알버트 슈바이처, N.T. 라이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배경을 가진 신학자들이 사도 바울 연구에 매달린 것도 기독교 안에서 사도 바울이 얼마나 중요한 위치를 가졌던 인물인가를 증거한다비록 바울의 이신칭의만이 정경성의 표준(principium canonicitatis)은 아니었으나 종교개혁 이후 바울 사상의 요점이 기독교의 중심 교리 안에 자리 잡은 것은 분명하다.

바울이 가지는 이런 상징성이 구속 신학의 칭의 교리를 중심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바울 연구에 있어 미흡한 부분들이 생겨났다바로 창조창조주창조 세상에 대한 사도 바울의 관심은 관심에서 밀려난 감이 있다하지만 사도 바울의 창조 이해는 기독교의 올바른 창조 이해와 섭리에 대한 대단히 중요한 기초 자료이며바른 구속 신앙의 근본이 될 수밖에 없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 부분들을 다루어보려고 한다사도 바울은 창조를 어떻게 바라보았으며 자신의 복음에 어떻게 이 창조 신앙을 연결하고 있는가즉 사도 바울은 자신의 창조 신앙(신학)을 어떻게 구속 신앙(신학)으로 연결하여 기독교 신학을 완성해 간 것인지를 살펴보려 한다.

신약학자 윌리엄 바클레이(William Barclay)는 바울이 예수 그리스도를 어떻게 생각하고 믿었는지를 알아보기 전에 우선 두 가지 기억해야 할 것이 있다고 했다.

첫째 바울은 조직신학자가 아니었다는 점을 지적한다예일대 교회사 교수를 지낸 교회사학자 윌리스턴 워커(1860-1922)도 바울이 요즘의 눈으로 보면 조직신학자가 아니라는 점을 지적하면서 그의 저술들(세심하게 계획하고 논증하는 로마서를 포함하여)은 사실 우발적이고 개인적이었다고 했다바울은 신학을 체계화한 그런 사람이 아니었다사실 바울뿐 아니라 모든 성경 저자들이 그렇다성경이 신학적 체계를 의식하고 쓰여진 책은 아니기 때문이다바울은 사람의 지성이나 지력에 충분한 만족을 줄 어떤 체계를 만드는 일에는 조금도 관심이 없었다오직 자신의 경험에 의거한 믿음을 전하여 사람들이 믿음으로 말미암아 생명을 얻도록 하기 위해 그 믿음을 말하는 데 관심이 있었다그는 예수에 대해 말할 때 부활하신 주님에 대하여 자신이 경험한 것이라고 단순하게 말했다이것을 바르게 해석할 책임과 짐은 후대 신학자들에게 있다.

둘째바울 신앙 안에는 정적(靜的)인 것이 전혀 없었다복음의 내용에는 전승의 문제가 있기도 하지만 복음은 본질적으로 계시다이 계시는 성경 저자의 상황에 따라 가변적인 환경 속에서 주어졌다바울도 늘 이같이 변화하는 인간 경험의 조류에 항상 직면하면서 살았다때론 실수도 하고 사색가들과 이단자들을 응대하고 교회가 제도상 정통교회로 정착하기 이전 시기를 살면서 변화무쌍한 상황과 문제에 대면하고 그리스도의 신비스러운 보고에서부터 새로운 진리새로운 보물을 꺼내오는 일을 하였다그리스도 안에서 새로운 위대함과 새로운 풍요로움을 늘 발견하면서 예수를 하나님의 아들로 소개하려는 의도가 바울에게는 있었다텍스트와 컨텍스트에 대한 사도 바울의 구별과 말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너무도 정확했다는 의미다이를 바탕으로 바울의 기독론칭의론구원론죄론종말론교회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있었다.

문제는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 결코 정적이지 않았던 사도 바울이 변화하는 과학 기술 시대를 살아가는 이 시대를 보고는 무어라 말하고 어떻게 복음을 설명하려 했을까 하는 점이다사도 바울 연구에 있어 주류에서 밀려난 바로 그 부분이다조금은 관심을 덜 받는바로 변화하는 세상 속에서의 창조와 창조주그리고 작금의 창조 세상에 대한 것이다즉 오늘의 인간율법의식주환경(그리고 과학기술의 발전 속에 있는 세상에 대해 사도 바울의 계시는 어떤 연결 고리를 가질 수 있을까이러한 질문들은 우리 시대 그리스도인들의 중요한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조덕영 박사 bareunmedia@naver.com

Previous Post

【한컷인물교회사】 키프리아누스

Next Post

【한컷기독교핵심용어】구원의 순서

Scroll to top